12일 전주에서 ‘혁신적 포용국가와 균형발전’의 필요성 속에서 지역개발과 지역균형의 해결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2019 대한민국 국가비전회의 II’가 개최됐다./에이티엔뉴스=이기종 기자

국가적으로 ‘혁신적 포용국가와 균형발전’의 필요성 속에서 지역개발과 지역균형의 해결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2019 대한민국 국가비전회의 II’가 개최됐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12~13일 전주에서 ‘혁신적 포용국가와 균형발전’을 논의하기 위해 국내 52개 학회,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연구기관 등 약 80개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2019 대한민국 국가비전회의 II’를 개최했다.

이 행사 첫 날에 이루어진 ‘지역개발과 지역균형’ 세션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 국가균형발전 전략과 과제’라는 주제로 한국지역개발학회(주관), 한국도시행정학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등이 참여했다.
 
이날 자율성 및 창의성을 기반으로 지형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스마트 도농융복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 방안’(최원철 한양대학교 특임교수), ‘앞으로 30년, 혁신 성장을 선도할 스마트 지역 인프라’(백남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 ‘정보기술 강국 한국의 스마트 도시 정체로부터의 교훈’(이동관 강원대학교 연구교수)을 발표했다.

최원철 한양대학교 특임교수가 ‘스마트 도농융복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 방안’에서 스마트 팜 사례를 설명하고 있다./에이티엔뉴스=이기종 기자
백남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가 ‘앞으로 30년, 혁신 성장을 선도할 스마트 지역 인프라’에서 동기부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에이티엔뉴스=이기종 기자
이동관 강원대학교 연구교수가 ‘정보기술 강국 한국의 스마트 도시 정체로부터의 교훈’에서 스마트 시티와 유비쿼터스(U) 시티 간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에이티엔뉴스=이기종 기자

이 회의 토론을 위해 참석한 전남대학교 배정환 교수는 국내 법 제도적인 보완, 스마트 도시 지표 설정 등을 제기했고, 이동관 연구교수는 스마트 시티와 관련해 정부와 민간 간의 지속적이고 집약적인 정책 협력이 필요하며 또한 기술 발전의 혜택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기반을 토대한 법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강원대학교 최준호 박사는 전통적 도시가치가 스마트 시티 조성에 상충되는 것과 기존 생활방식 상실에 대한 해결 방안 등을 제기했고, 백남철 박사는 공공행정 속에서 바뀌지 않은 가치(다양성 등)를 지속 유지해야 하고 기반 상실의 문제는 스마트 개념 속에 있는 복합성 및 다양성 속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황재희 박사는 ‘스마트 빌리지’라는 개념 속에서 생각할 때 스마트 농어촌 발전과 도시 발전 간의 배경적인 차이점이 존재한다고 제기했고, 최원철 교수는 ‘스마트 시티’는 ‘유비쿼터스 시티’로 이름만 바뀐 것이라고 생각되며, 스마트 팜의 주체는 농민으로 우리의 정보통신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답변했다.
 
이 회의 좌장을 맡은 고려대학교 정부행정학부 김상봉 교수는 “유비쿼터스 시티와 스마트 시티 간 개념은 진화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며, “앞으로 사회적 가치 중 인적자원 중심으로 거버넌스 체제와 사이버 공간 속에서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가 이뤄진 스마트 도시로 진화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이티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